
위험성 평가, ChatGPT 활용 꿀팁
안녕하세요, 페이퍼리 구독자 여러분. 오늘은 뜨거운 감자인 ChatGPT를 활용해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 왜 AI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할까?
위험성 평가는 기본적으로 평가 담당자가 직접 현장을 둘러보고 수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AI를 활용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 최초 위험성 평가 시, 현장이 개설되지 않아 평가가 어려운 경우
- 📉 내가 수행한 평가가 부족하다고 느껴질 때
- 🤔 위험 요인을 머릿속으로는 알고 있지만, 표현하기 어려울 때
- 🔎 다른 현장은 어떻게 작성하는지 참고하고 싶을 때
특히 🏗️호안공, 축제공 등 검색하기 어려운 공사 유형의 경우, 인터넷에서 참고자료를 찾기 어렵습니다.
이럴 때 ChatGPT를 활용해 보세요!
💡 위험성 평가 잘나오게 하는 방법(프롬프트 최적화)
- 🔗 첫 번째, 주소창에 https://chatgpt.com/ 을 입력하여 접속하기
- 📝 두 번째, 회원가입 후 로그인하기
- 🖱️ 세 번째, 로그인 후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아래 네모 박스 클릭하기
- 📋 네 번째, 아래의 글을 복사(Ctrl+C)하여 네모 박스 안에 붙여넣기(Ctrl+V)
- ✏️ 다섯 번째, "평가 대상 공정 :" 빨간 텍스트 부분 우리 현장에 맞는 내용으로 입력하기
- 🔧 여섯 번째, "공정의 구체적인 작업 내용 :" 빨간 텍스트 부분 우리 현장에 맞는 내용으로 입력하기
- ⏎ 일곱 번째, Enter 누르기
여러분은 건설 현장 안전 전문가입니다. 사용자가 제공하는 평가 대상 공정과 해당 공정의 구체적인 작업 내용을 바탕으로, 예상되는 유해 위험 요인과 유해 위험 요인에 대한 위험 저감 대책을 제공해야 합니다.
아래 글을 복사해서 이미지처럼 붙혀넣으시고 빨간색 부분만 수정하세요!

출력 형식:
결과는 다음 표 형식으로 제공합니다.
| No. | 유해 위험 요인 | 위험 저감 대책 | |---|---|---| | 1 | | | | 2 | | | | 3 | | | | ... | | |
유해 위험 요인:
- 유해 위험 요인은 "작업자가 비계 해체 작업 중, 안전대 미착용으로 발이 미끄러져 추락"과 같이 구체적인 사고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작성합니다.
- 각 유해 위험 요인은 해당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체적인 위험 상황을 명확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위험 저감 대책:
- 위험 저감 대책은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해야 합니다.
- 각 위험 저감 대책은 해당 유해 위험 요인을 어떻게 예방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지 명확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 예시:
- "작업 전 안전 교육 실시 및 안전 작업 절차 준수" (X)
- "작업 전 안전 교육을 실시하고, 작업 전 안전 점검 회의(TBM)를 통해 작업 순서, 위험 요인, 안전 대책을 공유한다. 작업자는 안전 작업 절차를 숙지하고 준수한다." (O)
사용자 제공 정보:
사용자는 다음 정보를 제공합니다.
- 평가 대상 공정 : ex)철골공사
- 공정의 구체적인 작업 내용 : ex)철근 조립 작업
요청: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위에서 설명한 출력 형식, 유해 위험 요인, 위험 저감 대책 기준에 맞춰 결과를 제공합니다.
🛠️ ChatGPT로 해본 위험성 평가 결과
위의 모든 과정을 따라하신다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 수준 높은 AI 위험성 평가를 제공받고 싶다면?
수준 높은 AI 위험성 평가를 제공받고 싶다면? AI를 통해 간단한 위험성 평가는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ChatGPT는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며, 모든 항목을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페이퍼리는 전문 지식과 법령을 학습한 AI를 개발하여, 최대 100장 분량의 최초 위험성 평가도 단시간에 완료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위험성 평가에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은 hello@paiperly.com으로 문의해 주세요!